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법리 오해6

약정금[조건부 약정을 체결한 당사자가 신의칙에 반하는 방해행위를 한 경우 조건의 성취를 의제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조건의 성취가능성(인과관계)이 문제된 사건][대법원 2022. 12. 29. 선고 2022다266645 판결] 안녕하세요 遵法精神의 판례 모음입니다.이번에 다룰 주제는 조건 성취 방해의 의미 및 현저히 낮은 성취가능성의 영향 입니다.    소송의 주요 쟁점 조건부 약정에서 당사자가 조건 성취를 신의칙에 반하여 방해한 경우 민법 제150조 제1항에 따라 조건이 성취한 것으로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  소송의 요약 사실관계:피고 회사는 지적재산권을 활용한 전자제품을 개발·판매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고, 원고는 피고 회사에 투자하였다.투자협정에는 ""피고 회사는 지적재산권을 통한 매출이 발생하면 원고에게 수익금의 10%를 투자금 원금의 5배까지 상환한다.""는 조건이 포함되어 있었다.그러나 피고 회사는 거짓말을 하여 다수 유통점주들로부터 제품 선급금 등을 편취했다는 혐의로 형사처벌을 받았다.원심판결:피고 회사가 처음.. 판례 모음 2024. 6. 5.
조건 성취 방해의 의미 및 현저히 낮은 성취가능성의 영향: 대법원 2022. 12. 29. 선고 2022다266645 판결 분석 조건 성취 방해의 의미 및 현저히 낮은 성취가능성의 영향주요 내용본 판결은 투자협정에서 지적재산권 매출 발생이라는 조건을 달성하지 못한 피고 회사가, 원고가 조건 성취를 의제하여 약정금을 청구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단입니다. 원심은 피고 회사가 처음부터 사업 성공 의지가 없었기에 조건 성취를 방해했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 일부를 인용했지만, 대법원은 이를 파기하고 사건을 환송했습니다.쟁점민법 제150조 제1항에서 정한 ""조건의 성취를 방해한 때""의 의미: 조건 성취 가능성이 현저히 낮은 경우까지 포함되는지 여부일방 당사자가 신의성실에 반하여 조건의 성취를 방해하였는지 판단하는 기준 결론대법원은 ""조건의 성취를 방해한 때""는 사회통념상 일방 당사자의 방해행위가 없었다면 조건이 성취되었을 것으로 .. 판례 해석 2024. 6. 5.
식품위생법 제22조 제3항 적용 범위 및 수사기관 촬영의 법적 성격,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21도10763 판결] 안녕하세요 遵法精神의 판례로 본 세상입니다.이번에 다룰 주제는 식품위생법 제22조 제3항 적용 범위 및 수사기관 촬영의 법적 성격 입니다.     소송의 주요 쟁점 식품위생법 제22조 제3항에 따른 절차를 준수하지 않은 특별사법경찰관리의 증거수집 절차가 위법한지 여부  소송의 요약 음식점에서 손님의 춤추는 모습을 촬영한 특별사법경찰관의 증거수집이 위법한지 여부가 쟁점인 사건이다.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하였다.식품위생법 제22조 제3항은 영업소에 출입하여 검사, 수거, 열람 등 행정조사를 할 경우에만 권한 증표 제시 등 절차를 요구하며, 범죄 수사를 위한 증거 수집에는 적용되지 않는다.특별사법경찰관이 영장 없이 공개된 음식점 내 손님의 춤추는 모습을 촬영한 것은 영상이 일반인에게도 보이는 상황이었으므로.. 판례 모음 2024. 5. 29.
임대차 갱신 요구 후 해지 통지의 효력 발생 시점, [대법원 2024. 1. 11. 선고 2023다258672 판결] 안녕하세요 遵法精神의 판례로 본 세상입니다.이번에 다룰 주제는 임대차 갱신 요구 후 해지 통지의 효력 발생 시점 입니다.   소송의 주요 쟁점 임대차계약 갱신 후에 이루어진 임차인의 해지 통지의 효력 발생 시점  소송의 요약 임차인이 임대차 갱신을 요구한 후 갱신된 계약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해지 통지를 했다. 법원은 갱신된 계약 기간이 시작된 후 3개월 후에 해지가 효력을 발생한다고 판결했다. 하지만 대법원은 갱신 요구가 임대인에게 도달했을 때 갱신 효력이 발생하고, 해지 통지 후 3개월 후에 해지 효력이 발생하므로 해지 통지가 갱신된 계약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 이루어졌더라도 상관없다고 판결했다.    【판시사항】 임차인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의3 제1항에 따라 임대차계약의 갱신을 요구한 경우, 갱.. 판례 모음 2024. 5. 12.
약사법 금지조항 위반 의무자 범위 및 대상 의약품 대법원 2024. 2. 29. 선고 2020도9256 판결 안녕하세요 遵法精神의 판례로 본 세상입니다.이번에 다룰 주제는 약사법 금지조항 위반 의무자 범위 및 대상 의약품 입니다.【판시사항】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서 ‘같은 법 제42조 제1항 등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의 판매 등을 일반적으로 금지한 취지 /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판매 등을 하여서는 안 될 의무를 부담하는 주체의 범위 및 판매 등의 금지 대상인 ‘같은 법 제42조 제1항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의 의미    소송의 주요 쟁점 구 약사법 제61조 제1항 제2호에서 금지하고 있는 '제42조 제1항을 위반하여 수입된 의약품'의 의미와, 이를 판매 등을 하여서는 안 될 의무를 부담하는 주체의 범위  소송의 요약 동물병원을 운영하는 피고인이 식품의약품안전처장에게 허가.. 판례 모음 2024. 5. 6.
반응형